[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교육은 인간형성의 과정이며 사회개조의 수단이다. 바람직한 인간을 형성해 개인생활·가정생활·사회생활에서 보다 행복하고 가치있는 나날을 보내게 하며 나아가 사회발전을 꾀하는 작용인 것이다.
인간형성을 위해서는 어떠한 과정을 밟아야 하며, 그 과정은 올바르고 바람직한 방향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의 정의는 바람직한 인간형성의 과정이며 보다 나은 사회개조를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육목적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 그 목적하는 바가 달리 설정되어 왔으나 교육 그 자체가 정의하는 대로 인간을 인간답게, 사회와 국가에 바람직한 인간으로 만드는 것을 가장 이상적인 것이다.
경기도 혁신교육 또한 미래지향적 삶과 공공적 가치를 구현하는 교육으로 참된 학력과 인성이 조화롭게 발달하는 전인적 학업 성취도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경기도 혁신교육에 교육방법으로는 전문적 학습공체의 형성을 통해 집단지성이 발휘되도록 하고 다양한 교육역량을 개발해 역동적인 수월성을 추구함에 따른다는 가치를 두고 있다.
지난 8월 29일 이러한 가치를 교육프로그램을 완벽하게 해소한 학교가 있어 교육혁신을 이룬 학교를 찾아 나섰다.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동로에 위치한 운담초등학교는 1956년 7월 일동국민학교 운담분교장으로 개교한 이래 현재 ‘즐거운 배움으로 더불어 성장하는 가치로운 행복학교’를 슬로건으로 1학년에서 6학년 1학급으로 구성(43명)돼 있으며, 1981년 개원한 병설유치원 1개 반(5명)으로 전교생은 48명이다.
지난 2016년 혁신학교로 지정된 운담초등학교는 제22대 최병운 교장 취임과 함께 ‘참여와 소통의 자치공동체를 형성하고 민주적인 학교운영을 바탕에 두고 경기도 혁신학교에 성공적인 모델로서 학생, 부모, 교사 등 학교 내 인적 구성원은 물론 인근 주민들까지 ’교육공동체‘라는 본질에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있다.
운담초등학교의 교육적 특색으로는 △참여와 소통의 자치 공동체 △존중과 배려의 생활 공동체 △개방과 협력의 학습공동체 △창의적 교육과정 운영 △2019 소프트웨어 선도학교 △디지털교과서 활용선도학교 △2019 STEAM 선도학교 등 혁신학교가 교육적 소양이 부족하다는 것이 편견 이였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첫 번째로 ‘참여와 소통의 자치 공동체’는 모든 자치공동체(학생자치공동체, 교원 협의체, 학부모회 중심 공동체, 마을교육공동체)에 중심을 학생에 두고 학교장은 그저 변혁적 리더십과 수평적 협의문화, 학교와 학부모회의 유기적인 관계 분위기를 조성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두 번째로 ‘존중과 배려의 생활공동체’는 바름을 바탕으로 인권과 교권이 상호 존중되는 학교를 만들기 위해 웃음•생각•독서•언어•인사•운동 핵심 습관을 정착, 자기주도적인 학생자치회 및 동아리 활성화, 욕설•폭력•따돌림 없는 학교 문화조성, 모든 교직원이 모범을 보이고 함께 생활지도에 동참, 경청•협력•질문 등 표현이 있는 학교문화 조성, 다문화가정 등 다양한 배려와 눈높이 관심 문화를 만드는 것에 있다.
세 번째로 ‘개방과 협력의 학습 공동체’는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자생적인 연구 동아리 운영,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실질적이고 내실 있는 운영, 하브루타(짝을 이뤄 서로 질문을 주고받으면서 공부한 것에 대해 논쟁하는 유대인의 전통적인 토론 교육 방법)수업, 학부모 학습동아리 운영, 마을교육공동체와 연계한 평생교육 학습 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학교 시설 활용 프로그램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교육과정 운영’에는 주제통합 프로젝트 학습 및 블록 타임제를 비롯해 학년군 별 예체능 중심의 역량있는 교사 교과 담임제를 편성하고 ‘운담 행복 오케스트라’, 창의발명 및 과학중심 운영 등 꿈과 끼의 발현 활성화로 진로체험 교육까지 이어진다. 이 안에 기초학교 및 교과 기본학력 정착은 말 그대로 기본이다.
이밖에도 ‘2019 소프트웨어 선도학교’, ‘디지털교과서 활용선도학교’, ‘2019 STEAM 선도학교’등 4차산업 미래인재육성에 필수적인 교육까지 과연 이것이 가능한 교육 커리큘럼(curriculum)인지가 의심되지 않을 수 없지만 최병운 교장과의 인터뷰와 낮선 어른들에 방문에도 전혀 위축되지 않고 소신(?)을 밝히는 1학년 아이들에 해맑음에서 그 의심은 기우였음을 바로 알 수 있었다.
이제는 학부모들이 또 다른 교육의 주체다!
최 교장은 학교 운영자로서의 소신에 대해 “초등학교 때 경험하지 못한 것은 평생 경험하지 못한다. 이 생각은 저에 오래된 소신이다. 다만 이런 다양한 경험을 아이들에게 어떠한 방법으로 만들어주는가가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무엇이든 즐거움에서 만들어지는 것은 예측을 뛰어 넘는 결과를 낳는다. 즐겁지 않은 경험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저는 아이들이 즐거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방향을 제안하고 학생 및 교직원들이 스스로 결정하면 이에 대한 지지와 지원을 하는 것이 제 역할이다”고 말했다.
이어 최 교장은 “사실 어려움도 있었다. 과거(5년전) 부모님들과 학교 간에 불화로 아이들 입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현재 6학년이 2명뿐이다. 저 또한 처음에는 저만의 경영철학을 담아서 운영 하려고 했다. 그 당시 상황에 얽혀 현실적으로 전혀 다가서지 못했다. 이후 학부모님들이 계신 곳 이라면 어디든 찾아 다녔다. 그 결과 변화는 부모님들에게서만 나타난 게 아니고 ‘학부모들이 교육의 또 다른 주체다’라는 저의 심적 변화도 함께 불러왔다. 학부모님들을 민원인, 감시자로 받아 들여서는 안 된다. 학교에 대한 부모님들의 감동이 아이들에게는 즐거운 교육의 단초가 되고 학교를 중심으로 모두가 가족이라는 공동체가 되어가는 걸 지금의 결과로 알 수 있다.
특히 “학교와 학부모님들과의 유기적인 관계는 교직원들의 마음과 의식을 완전히 뒤 바꿔 놓았다. 아이들을 위하는 교육이라면, 아이들을 위한 먹거리라면, 아이들을 위한 안전이라면 지시에 의해서가 아닌 스스로가 더욱 열성적으로 다가선다. 기본적인 교육시스템에 운담초등학교만에 특별한 프로그램을 자연스럽게 녹여내기 위해 방학기간을 포기하고도 흥이 나있는 교사들을 보며 교육은 배움과 가르침이라는 둘 모두에 위치에서 보여주기 위함이 아닌 스스로의 자존감을 키우고 당위성을 만들어가는 것이 본질이라는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이들과 소통•교감으로 늘 가족 같은 마음
인터뷰에 함께 참여한 김미란 교감은 “저는 포천에서만 20년간 교사를 해왔다. 올해 3월 관리자(교감)이 되면서 처음에는 직분에 맞지 않는 협소한 공간과 너무 자주 찾아오는 부모님들 때문에 힘들고 자괴감도 들었다. 하지만 지금은 알게 됐다. 부모님들이 먼저 선생님들의 고충을 헤아려 주시고 계시다는 것을, 학교에 작은 도움이라도 주시고자 ‘꿈의학교’(학부모님들의 재능기부 참여교육)와 일손이 부족한 곳곳에서 봉사활동을 자처 하시는 모습에 저희 또한 감동을 받고 있다. 지금은 소통이 ‘빵빵’된다”며 얼굴에 미소가 가질 않았다.
이날 인터뷰를 진행한 곳은 교장실이다. 교장실이라는 문패가 달린 곳은 교무실내에 끝부분에 칸막이로 막고 성인 몇 명이 자리에 앉아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그런 공간이었다. 독립적으로 있던 교장실을 학부모님들이 편하게 회의를 할 수 있는 ‘운담가족 자치회실’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최 교장은 “나도 같은 교원일 뿐이다. 학부모님들이 참여 의지를 보이시는데 장소를 제공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학교는 외부손님을 접대하는 곳이 아니다. 아이들의 교육을 위한 공간이고 그 중에 가장 용도가 낮은 곳이 교장실이었을 뿐이다”라고 말한다.
인터뷰 당일 3학년부터 6학년 학생들은 포천시에서 마련한 과학행사 체험 때문에 만나볼 수 없었지만 더욱 솔직한 마음을 들어볼 수 있는 1학년 김태환, 김다솜, 최단비 학생들과의 단독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는 행운이 주어졌다.
지지와 응원을 통해 자존감이 상승하는 아이들!
학교생활에 대해 아이들의 첫마디 “재미없어요”라고 답변해 깜짝 놀랐다. 하지만 이어지는 “공부는 재미없고 노는게(체험학습) 정말 재미있어요”라고 말하는 김다솜 학생, “엄마가 학교에 와서 같이 공부해서 좋아요”라는 김태환 학생 “우리 엄마는 바빠서 매일 학교에 못 오는데 음악놀이(축제)할 때 와서 좋았어요”라는 최단비 학생에 말 속에서 아이들의 순수함과 해맑은 모습들이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의견이 달라도 목표가 같다면 만족스런 교육, 빠른 교육에서 벗어나 늦더라도 많은 체험을 교육에 녹여내고 그 안에서 소통과 교감을 통해 모두가 가족이 되어가는 교육, 모두가 각자의 위치에서 최고의 교육을 만들어가기 때문에 관리자가 굳이 필요 없다는 최병운 교장선생님의 ‘이상한 학교’가 경기도 혁신교육이 말하고 있는 교육의 본질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