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철 기자가 본 세상 데스크 칼럼] ‘가짜 언론’의 그림자, 광고 영업에 빠진 미디어의 위기

  • 등록 2025.08.28 16:18:41
  • 조회수 94
크게보기

허술한 언론사 등록 제도가 불러온 ‘가짜 언론’의 확산
지역사회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광고성 기사와 협박성 보도의 악순환

 

 

지역 사회의 일선에서 활동하며 수많은 인터넷신문 명함을 받아온 기자로서, 이 명함을 내미는 이들 중 진정한 기자를 찾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실감했다.

 

기사 한 줄 작성하지 못하는 이들이 언론사라는 간판을 걸고 지자체 홍보 담당자들을 찾아다니며 광고를 요구하는 현실은 실로 참담하다. 취재와 보도는 자취를 감추고, 언론의 이름은 오직 영업을 위한 도구로 전락한 것이다.

 

이러한 현실의 배경에는 허술한 언론사 등록 제도가 자리 잡고 있다. 일정 요건만 갖추면 누구나 언론사를 설립할 수 있고, 이후 기사 생산 능력이나 취재 활동 여부는 검증되지 않는 구조가 문제다. 이로 인해 언론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으나 사실상 홍보와 광고 영업에만 몰두하는 ‘가짜 언론’이 늘어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행태로 인한 피해가 고스란히 지역사회와 시민들에게 돌아간다는 점이다. 공공의 목소리를 담아야 할 기사는 점점 줄어들고, 그 자리를 보도자료와 광고성 기사가 채운다.

 

지자체와 공공기관은 홍보 효과가 미미한데도 불구하고 광고비를 집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고, 이는 결국 국민 세금의 비효율적 사용으로 이어진다. 더 나아가 광고를 제공하면 칭찬 기사가 쏟아지고, 광고를 끊으면 근거 없는 비판 기사가 등장하는 현실은 언론이라기보다는 협박에 가깝다.

 

이러한 행태가 반복되면서 진짜 지역신문은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주민의 목소리를 담고 지역 권력을 감시해야 할 언론이 광고 장사에 밀려나는 것이다. 신뢰가 무너진 자리에는 불신만 쌓이고, 결국 지역 언론 전체가 싸잡아 외면당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나는 이제라도 이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언론의 자유는 존중받아야 하지만, 언론을 빙자해 사익을 챙기는 기생적 존재까지 보호할 필요는 없다. 언론사 등록 요건과 광고 집행 기준을 강화해 최소한의 자격과 책임을 갖춘 매체만이 언론의 이름을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언론은 광고 영업의 간판이 아니라, 시민의 목소리를 담고 권력을 감시하는 사회적 책무라는 사실을 지켜내야 한다. 언론의 본래 역할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언론계, 그리고 시민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허술한 언론사 등록 제도를 개혁하고, 광고 영업에 치중하는 언론사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시민들도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언론을 감시하며, 진정한 언론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노력이 모일 때, 비로소 가짜 언론의 그늘에서 벗어나 공정하고 신뢰받는 언론 환경이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언론의 이름을 달고 있는 미디어가 그 본분을 다할 수 있도록, 그리고 지역사회가 다시금 신뢰할 수 있는 언론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우리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문수철 기자 aszx1230@hanmail.net
Copyright @gheadline.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