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쌀값 조기 안정을 위해 정부는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9월28일 긴급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개최하고 2017년 수확기 쌀 수급안정 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정부는 공공비축‧해외공여용(APTERR) 쌀 35만톤, 시장격리 37만톤 등 총 72만톤을 정부가 매입하고 하기로 했다. 시장격리 37만톤은 '10년 이후 최대 격리량으로서 수확기 쌀값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쌀 수급이 불안해지거나 가격이 급등하지 않는 한 시장격리곡 등 정부양곡은 시장방출을 최대한 자제할 방침이다.
또한, 정부는 올해 쌀 생산량은 지난해 생산량 420만톤 보다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는 정부매입량을 3만톤 가량 증가했으며, 민간 벼 매입지원(총 3.3조원 규모), 공공비축제 개선, 재고관리 방안 등도 함께 추진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농협은 농가 희망 물량을 전량 매입하기로 했으며, 농협 매입 확대가 농협 외 민간 RPC의 벼 매입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농식품부는 이번 수확기 대책에 따라 공공비축미 및 시장격리곡 매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산지 쌀값, 정부‧민간 매입 현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내년부터는 쌀 공급과잉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강력한 쌀 생산조정제*를 도입하여 ’19년까지 벼 재배면적을 10만ha(생산량 약 50만톤)까지 감축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