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시민과 함께하는 ‘기후적응사회’로의 도약 선언

  • 등록 2025.04.24 17:08:47
  • 조회수 73
크게보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정책 방향 제시
시민이 정책 생산자이자 동반자로 참여하는 기반 구축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광명시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시민 중심 기후적응사회'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문광호 기획조정실장은 24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정책브리핑에서 광명형 탄소중립 정책의 주요 성과와 방향을 발표하며 “광명시는 단기적 성과에 집중하기보다는 시민과 함께 배우고 실천하는 기후적응사회로 전환하기 위해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후적응사회’는 기후변화를 단지 환경 문제로만 국한하지 않고, 정책, 경제, 교육, 복지, 도시계획 등 모든 영역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광명시는 시민 중심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조직 정비와 제도 도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왔다. 2018년 전국 지방정부 최초로 기후에너지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2020년 수도권 최초로 기후에너지센터를 개소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올해 3월에는 ‘광명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해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의 40%에 해당하는 44만 톤을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했다.

 

시민 참여를 강조한 광명시는 ‘1.5C 기후의병’ 운동을 통해 시민 주도의 탄소중립 정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2024년 9월에는 참여자 수가 1만 명을 돌파하며 광명시의 대표적 시민 주도형 기후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기후의병들은 자발적인 탄소중립 실천 활동을 통해 온실가스를 대폭 감축하며 기후위기 극복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광명시는 에너지 전환 생태계 구축에도 시민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2020년 광명시민에너지협동조합과 협력해 공공시설 내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하고 있으며, 수익은 지역사회에 환원되고 있다. 이러한 민관 협력 모델은 광명 형 에너지 공유경제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탄소중립 실천의 출발점은 시민의 인식 전환에 있다. 광명시는 시민 대상 탄소중립 교육을 통해 기후행동 실천력을 높이고 있으며,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해 시민 참여를 극대화하고 있다. 기후에너지 시민 강사 제도를 도입해 지역사회 탄소중립 실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광명시는 올해도 지속 가능한 기후적응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후주간을 운영해 사회적 인식 확산과 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공유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을 통해 시민 생활 속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또한, 공동주택에서 탄소중립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기후대응 실천 우수 아파트 선정 사업’도 추진한다.

 

한편, 광명시는 기후적응사회의 모범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시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노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문수철 기자 aszx1230@hanmail.net
Copyright @gheadline.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