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그린라이트 광명’으로 탄소중립 도시재생 혁신

광명형 도시재생의 새로운 비전 ‘그린라이트 광명’ 공개
시민참여와 민관협치, 탄소중립을 결합한 도시재생 모델 구축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광명시가 탄소중립형 도시재생 브랜드 ‘그린라이트 광명(Greenlight 光明)’을 새롭게 선보이며 도시재생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광명시는 23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정책브리핑에서 시민참여와 민관협치, 탄소중립을 결합한 도시재생의 새로운 모델을 발표했다. ‘그린라이트 광명’은 신호등의 녹색 불이 지닌 긍정적 의미를 확장해 ‘빛의 도시 광명’, ‘탄소중립의 상징색 그린’, ‘시민과의 공감과 허락’을 의미한다.

 

이상우 신도시개발국장은 “광명형 도시재생은 물리적 환경 개선을 넘어 시민참여를 기반으로 공동체 활성화와 기후위기 대응을 동시에 실현하는 데 중점을 둔다”며, “도시재생 민관협치 거버넌스와 시민참여 기반, 주민 탄소중립 역량을 강화하며 지속가능한 모델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광명형 도시재생의 핵심은 시민참여와 민관협치이다. 시는 도시재생 총괄기획단, 주민협의체, 추진단을 중심으로 한 협치 거버넌스를 구축해 주민들이 의사결정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도시재생 총괄기획단은 박승원 광명시장을 단장으로, 민간 전문가, 관련 부서, 시민참여단이 함께하며 정책의 전문성과 실행력을 높이고 있다. 주민협의체는 사업 공모, 마을 축제 기획 등 생활과 밀접한 의제를 다루며, 주민들의 역량을 키우는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광명시는 지역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를 거점으로 맞춤형 교육, 회의, 축제 등을 열어 주민 참여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지역의 중요한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광명3동 무지개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협동조합은 주민 문화교육 프로그램, 지역 축제 운영 등으로 공동체 활성화를 이끌어왔으며, 지속적인 행정·재정적 지원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

 

또한, 광명시는 도시재생사업에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반영하며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모델을 완성했다. ‘2023년 경기도 더드림 도시재생사업’에 선정된 소하2동 도시재생사업은 다양한 탄소중립 사업을 추진하며 지역의 초록빛 변화를 이끌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청소년·어르신 기후대응 활동단 구성·운영, 정원 가꾸기 교육, 친환경 물품 제작, 노후주택 에너지 성능 개선 등이 있다.

 

특히, 최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2025 대한민국 도시·지역혁신대상’의 도시환경·경관 분야에서 대상(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하며 그 성과를 인정받았다.

 

한편, 광명시는 ‘그린라이트 광명’ 브랜드 아래 도시재생 거버넌스를 통한 민관협치 강화, 주민 탄소중립 역량 강화, 주민 참여형 실행 프로그램 확대 등을 통해 광명형 탄소중립 도시재생 모델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며, 시는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통해 시민이 함께 만드는 도시의 초록빛 변화를 이어갈 것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