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정조대왕 능행차길 청소년 체험순례' 행사 열어

청소년 220여 명, 3박4일간 서울 창덕궁~수원화성~융릉 62.2㎞ 구간 순례




▲ 정조대왕 능행차길 체험순례단이 수원화성의 북문인 장안문을 통과해 수원화성에 입성하고 있다.(사진=수원시)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수원시와 서울시가 공동 주최한 ‘정조대왕 능행차길 청소년 체험순례’ 행사가 7월 30일~8월 2일 서울 창덕궁에서 출발해 수원화성을 거쳐 융릉에 이르는 62.2㎞ 구간에서 펼쳐졌다.


수원, 서울, 인천 등 각지에서 참가한 220여 명의 청소년들은 3박4일간 정조대왕이 현륭원(사도세자의 묘소) 참배를 위해 지났던 길을 따라 걸으며 정조대왕의 효심과 애민정신을 되새겼다.

 
순례단은 7월 30일 서울 창덕궁 돈화문 앞에서 열린 출정식 후 경복궁, 서울역, 한강대교, 노량행궁 등 서울 구간을 지나며 첫 날 일정을 마쳤다. 둘째 날에는 시흥행궁터, 지지대고개, 만석공원을 거쳐 장안문에서 수원화성 입성식을 열었다.


 

▲ 정조대왕 능행차길 체험순례단이 정조대왕의 효심을 상징하는 노송길 구간을 지나고 있다.(사진=수원시)


셋째 날에는 수원문화원, 수원향교, 융릉, 용주사를 지났고, 마지막 넷째 날에 수원화성 성곽을 답사하며 모든 순례 일정을 마쳤다.

 
3박4일간 모든 순례를 마친 한 학생은 “너무 더워 온 몸이 땀으로 범벅이 되고 제대로 씻지도 못해 괜히 왔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면서도 “책으로만 배우던 정조대왕의 능행차 구간을 내 발로 걸었다는 자부심을 느낀다”며 뿌듯해 했다.


 

▲ 정조대왕 능행차길 체험순례단이 화성행궁 정문인 신풍루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수원시)


한편 수원시는 지난해 제53회 수원화성문화제에서 진행했던 ‘정조대왕 능행차’를 보강해 오는 9월 더욱 완벽한 능행차 재현 행사를 선보일 예정이다. 지난해 수원화성 연무대에서 마무리했던 능행차를 1795년 을묘원행의 실제 종료 지점인 융릉까지 연장하는 게 핵심이다. 을묘원행이 서울 창덕궁에서 융릉에 이르는 전 구간에서 재현되는 것은 222년만에 처음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