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 명복 빌던 불전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보물 지정

  • 문수철
  • 등록 2017.08.16 13:46:34
  • 조회수 90

용주사 대웅보전은 능침사찰의 주불전


▲ 용주사 대웅보전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華城 龍珠寺 大雄寶殿)’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42호로 지정했다고 14일 밝혔다.


화성 용주사는 장조(사도세자)의 묘소인 융릉(隆陵)(전 현륭원縣隆園)의 능침사찰(왕과 왕비의 능침을 수호하고 명복을 비는 사찰)로 쓰였던 곳으로 제사 물자를 준비하기 위한 조포사(造泡寺능(陵)이나 원(園)에 딸려서 제향(祭享, 나라에서 지내는 제사)에 쓰는 두부를 맡아 만들고 제사 물자를 조달하는 절 )역할을 했다.


용주사 대웅보전은 1790년 2월 19일에 공사를 시작하여 4월 15일 상량)기둥에 보를 얹고 그 위에 처마 도리와 중도리를 걸고 마지막으로 마룻대를 올림), 9월 29일에 불상이 봉안되었는데, 왕실이 공사를 발주하고 관청이 재원을 조달하는 등 건립 계획부터 공사감독까지 일관되게 국가가 주도한 관영공사였다. <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현륭원의궤>, <조선사찰사료> 등 관련 사료를 통하여 공사 내용과 재원, 집행, 인력 등 공사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


용주사는 중심영역인 삼문, 천보루(天保樓), 대웅보전을 가운데 일렬로 두고, 승당과 선당, 좌우 익랑(翼廊*은 똑같은 규모의 동일한 형태로 마주 보고 대칭되게 배치했다. 이 같은 배치와 공간구성은 창건 당시 모습을 대체로 잘 유지하고 있어 조선 후기 능침사찰의 배치 특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대웅보전은 용주사의 주불전으로 여러 번의 중수가 있었지만, 외부 단청을 제외하고는 처음 지었을 때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多包系) 팔작지붕(양 측면에 삼각형 모양의 합각면이 있는 지붕)의 건물로 18세기 불전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장대석 기단(長臺石 基壇)과 원형주좌(圓形柱座)기둥을 두는 곳)를 둔 사각의 초석, 지붕의 취두(용마루의 양쪽 끝에 얹히는 조형) 와 용두(내림마루에 용머리 모양의 장식기와를 올리는 것), 양성바름(궁궐 건축 또는 바람이 센 남부 해안지역 건물의 지붕마루 전체를 회로 감싸 바름) 등 시공에 정성을 기울여 능침사찰로서 건물의 격을 잘 보여준다. 다포 양식의 공포와 초각(草刻) 수법은 창건 당시의 시대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


이처럼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은 능침사찰의 주불전으로 권위와 격식, 시대성을 잘 간직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이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할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