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로 지역 건강 안전망 구축

감염병관리과 신설과 민관 협력으로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
감염병대응센터 건립으로 체계적 관리 시스템 마련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광명시는 코로나19 대유행의 교훈을 발판 삼아 새로운 감염병 대응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현숙 광명시 보건소장은 29일 열린 브리핑에서 이러한 계획을 발표하며, 감염병 대응을 위한 전담 부서인 ‘감염병관리과’를 신설했다고 전했다. 이 부서는 감염병관리팀, 의약무팀, 감염병예방팀, 영유아모성팀 등으로 구성되며,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목표로 한다.

 

시는 감염병 발생 시 환자 격리, 접촉자 관리, 방역 소독 등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역학조사반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해외에서 신종 감염병이 발생할 경우 비상방역대책반을 설치해 대응을 주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민간 전문가와의 협력체계를 강화해 광명시의사회, 광명시약사회 등과 협력해 지역 의료 민관 실무협의체를 구성했다.

 

감염병 취약계층의 보호와 관리를 위해 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현장 지도와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감염병 대응 표준 실무 매뉴얼을 제작해 취약시설 내 감염병 차단을 위한 대응 인력 역량 강화 사업도 지속 추진하고 있다.

 

특히, 광명시는 오는 7월 ‘감염병대응센터’를 개소할 계획이다. 이 센터는 감염병 대응을 위한 시설, 조직, 시스템을 집약하여 원스톱 감염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과거 임시 검사시설을 상시 대응 가능한 건물 형태로 개선한 이 센터는 쾌적한 환경에서 검사와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시설을 제공하며, 의료진에게는 안전한 환경에서 신속한 대응을 가능케 한다.

 

센터는 광명시 보건소 부지 내에 건립되며, 특별조정교부금 29억 3천만 원과 시비 5억 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34억 3천만 원이 투입된다. 주요 시설로는 검사 및 환자 공간, 사무 공간, 보관 공간 등이 있으며, 대규모 검사와 감염병 의심 환자 진료, 의료기관 이송 전 환자 격리에 사용될 예정이다. 감염병 전문 진료실 설치로 기존의 감염병 확산 위험을 크게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현숙 보건소장은 “코로나19 대유행을 겪으며 지자체 차원에서도 감염병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며, “감염병대응센터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체계를 확립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광명시는 앞으로도 전문적인 대응을 통해 지역사회의 건강 안전망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