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이제는 3세대 정치인이 나설 때다” 변화와 혁신 요구 커지는 지역정가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경남 양산의 정치사가 다시 전환점을 맞고 있다. 1990년대 초반 지방자치제가 부활한 이후, 양산은 안종길·손유섭·오근섭 등 ‘1대세 정치인’, 그리고 나동연·김일권 등 ‘2세대 정치인’을 거치며 지역 발전의 궤적을 그려왔다.

 

그러나 시대가 바뀌고 도시가 급성장하면서, 시민들 사이에서는 “이제는 양산의 미래를 새롭게 설계할 3세대 정치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1세대, 지방자치의 시작 이끌었지만 ‘과도기적 한계’

 

1990년대 초반 양산 정치의 1세대는 지방자치제의 부활과 함께 등장했다.

 

무소속으로 초대 양산군의회 의장을 지낸 안종길 전 시장, 행정관료 출신으로 민선 1기 양산군수를 맡은 손유섭 전 군수, 그리고 교육과 지역 발전을 강조하며 시장을 역임한 오근섭 전 시장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지방자치의 기틀을 세우는 데 큰 역할을 했지만, 일부는 뇌물수수 등 비리로 시장직을 상실하거나 사법처리를 받는 등 정치적 불신을 남기기도 했다.

 

◆ 2세대, 행정 경험과 조직력을 앞세운 실용 정치

 

2000년대 들어 등장한 나동연·김일권 두 인물은 양산 정치의 2세대를 대표한다.

 

기업가 출신의 나동연 시장은 한나라당 소속으로 두 차례 양산시장을 지냈으며, 도시 인프라 확충과 산업기반 조성에 힘썼다.

 

반면 김일권 전 시장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3번의 낙선 끝에 당선돼, 양산의 행정체계를 시민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집중했다.

 

두 사람은 각각 보수와 진보 진영을 대표하며 시정 경쟁을 벌였으나, 양산이 부산의 배후도시에서 자족형 도시로 성장하는 과도기적 시기를 완전히 돌파하지는 못했다는 평가도 있다.

 

◆ 급성장하는 도시, ‘3세대 정치인’의 시대 열려야

 

양산이 50만 인구를 갖춘 특례시로 거듭나기 위해선, 지역 현안에 대한 이해와 실현 가능한 공약, 소통과 협력의 리더십, 투명성과 도덕성을 갖춘 인물이 양산의 새로운 리더가 되어야 한다는 게 양산시민들의 중론이다.

 

특히 급격한 인구 증가와 교통·환경 문제, 산업 다변화에 따른 행정 수요 확대 등은 과거 세대의 방식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새로운 세대의 정치 리더십을 요구하고 있다.

 

양산은 이제 단순한 베드타운이 아니라 부산·울산을 잇는 경제·생활권의 핵심 도시로 자리 잡았다. 2025년 황산공원 복합레저단지 조성, 2026년 ‘양산 방문의 해’ 등 굵직한 사업들이 추진 중인 가운데, 이를 이끌 세대교체형 리더십의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다.

 

◆ 변화의 키워드는 ‘혁신과 통합’

 

전문가들은 “1세대가 제도를 세우고, 2세대가 기반을 닦았다면, 이제 3세대는 양산을 지속 가능한 도시로 도약시킬 세대”라고 입을 모은다.

 

지역 현안을 넘어 중앙정부, 기업, 시민사회와 협력하며 실질적인 발전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정치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시민사회에서도 “양산은 이제 행정 경험보다 혁신적인 사고, 미래지향적 비전, 그리고 통합의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 “새 얼굴, 새 비전”... 지방선거의 새 흐름 주목

 

다가오는 지방선거는 양산 정치의 세대교체를 가늠할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오랜 기간 이어진 양산의 정치 구도를 넘어서, 젊고 전문성 있는 3세대 정치인이 등장할 경우 지역 발전의 패러다임이 바뀔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양산의 정치사는 늘 ‘도전과 변화’의 연속이었다.

 

이제 시민들이 바라는 것은 과거의 정치가 아닌, 미래의 도시를 설계할 리더다.

 

“양산의 미래는 3세대 정치인에게 달려 있다” 이 말이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현실이 되어야 할 때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