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화성특례시의회가 순환경제사회 전환을 위한 중요한 조례 제정을 추진하는 가운데, 지난 4월 30일 화성상공회의소에서 기업 의견 청취 간담회가 열렸다.
이번 간담회는 김경희 의원 주관 하에 진행됐으며, 자원 순환 관계 기업 관계자들이 모여 재활용 산업이 직면한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날 간담회에는 화성상공회의소 안상교 회장과 함께 10명의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기업 관계자들은 “순환경제의 핵심적인 역할을 기업들이 담당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재정적 지원과 기술적 협력 방안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재활용 산업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을 요청했다.
화성특례시의회는 이번 조례 제정을 통해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재활용을 촉진하고 폐자원 순환을 목표로 하는 지속 가능한 경제 구조로의 전환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는 화성특례시의 환경적·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전망이다.
김경희 의원은 간담회에서 “이번 조례는 시민들이 순환경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들이 실질적인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될 것”이라며, “순환경제를 위한 정책이 단순한 이론에 머무르지 않고, 기업과 시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조례로 발전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 의원은 조례 제정 과정에서 수렴된 기업들의 의견을 반영해 기업들이 순환경제 사회의 주체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과 기술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조례 제정은 화성특례시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간담회를 통해 제시된 다양한 의견들이 정책에 반영됨으로써 화성특례시가 순환경제사회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편, 화성특례시의 이러한 노력은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다른 지역에서도 순환경제사회 전환을 위한 유사한 움직임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조례 제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화성특례시는 지속 가능한 도시로서의 모델이 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