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헤드라인=문수철 기자] 경기도가 광역버스(직행좌석형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적용하기로 한 일부 버스노선이 기준에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일고 있다.
경기도의회 민경선(더불어민주당·고양3) 의원은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지역 14개 시·군 58개 노선 621대가 준공영제 대상 노선으로 선정됐는데, 이중 M버스인 파주선진 7426, 7625번이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다.
해당 시·군은 광역버스 인면허권을 보유한 파주·용인·안양·포천·양주·남양주·구리·하남·광주·가평 등 10개와 노선이 경유하는 의정부·군포·의왕·과천 등 4개다.
민 의원에 따르면 대원고속 5006번, 5007번, 1112번, 1550번, 1570번, 5500-2번의 경우 용인~수원~성남~서울을 운행하는 노선인데, 경유지역에 포함된 성남과 수원은 준공영제에 불참했다.
경기상운 3000번은 서울~성남~하남, 보영운수 7002번은 과천~서울~성남~수원~안양~용인~의왕, 신일여객 9710번은 파주~고양~서울을 경유하는데 이들 버스가 경유하는 성남, 수원, 고양시는 준공영제에 참여하지 않았다.
특히, 민 의원은 "경기도가 기준에 맞지 않는 노선을 포함한 것은 졸속 추진의 극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형평성 논란도 일 수 있다"며 "3월 시행시기를 못 박지 말고 충분한 검토와 검증을 거친 뒤 실시 여부를 지방선거 이후로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에 대해 "2개 M버스 노선의 경우 광역버스 전환이 확정적이라고 파주시에서 알려 포함했고, 9개 광역버스 노선 가운데 6개는 인면허권을 가진 용인·파주·하남시에서 재정지원을 하겠다며 대상에 포함할 것을 요청했다"며 "나머지 5006번, 5007번, 7002번 등 3개 노선은 준공영제를 적용할지에 대해 해당 시·군과 아직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결국 2개 M버스 노선과 3개 광역버스 노선은 변동이 있을 수 있다"며 "이에 따라 전체 사업비(202억원)도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민경선 의원은 "광역버스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기도 버스 준공영제의 기본 틀을 흔드는 일"이라며 "특정업체를 비호하는 검은 손의 그림자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한다"고 덧붙였다. 국토교통부 장관이 인기해주는 M버스는 경기도와 시·군의 예산이 투입되는 준공영제 대상이 아니다고 주장했다.